이더리움클래식 코인(ETC) 시세 주가 전망 차트분석
안녕하세요 차트보는남자 입니다.
오늘은 김치코인은 아니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상당히 좋아하는 코인인 이더리움클래식코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메이저급 코인인데도 오를 때 항상 무섭게 올라서 한국사람들 입맛에 맞는 그런 코인인 거 같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 코인 (ETC Coin)
심벌 : ETC
발행량 : 210,700,000 ETC
유통량 : 145,677,493 ETC ('24. 2.22. 기준)
시가총액 : 5.07조 원('24. 2.22. 기준)
시가순위 : 28위 ('24. 2.22. 기준)
최초발행 : 2015년 7월
상장거래소 : Binance, Coinbase, HTX, Bybit, OKX 등 다수
이더리움클래식 코인 소개
가. 디지털 자산 소개
2016년 '더 다오(The DAO)' 해킹 사건의 대응 방안으로 이더리움의 하드포크(Hard Fork)가 제안되었습니다.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몇몇 주체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원래의 이더리움 체인을 따르겠다고 선언하여 원래 체인은 이더리움클래식(ETC), 하드포크한 체인은 이더리움(ETH)이 되었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 네트워크는 이더리움클래식 토큰(ETC)이라는 디지털 자산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나. 기술적 특징
1. 작업증명방식(Proof of Work, PoW)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의 이더리움클래식 지지자들은 이 방식을 고수하고 있지만, 해당 방식의 연산처리능력은 타 합의 알고리즘 방식에 비해 느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이더리움클래식은 거래 기록 방식으로 계정 기반 모델(Account-based model)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저장공간을 절약하고, 디앱(DApp) 개발 방식을 단순화합니다. 또한 계정 간의 대체가능성(Fungibility)을 높여 중앙화 블랙리스트에 편입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 현재와 미래
이더리움클래식은 이더리움이 지분증명방식(Proof of Stake, PoS)으로 전환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증명방식을 통해 네트워크를 운영해 나가고 있습니다. 추후 이더리움클래식은 자체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메인넷 생태계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출처 : 업비트]
이더리움의 아버지라고도 할 수 있는 이더리움 클래식코인입니다.
아버지 보단 자식인 이더리움이 알트시장에선 시장을 장악했으니 자수성가한 거라고 볼 수 있을 거 같네요.
시총은 이더리움보다 많이 낮지만 역시 상위권을 항상 지키고 있는 저력 있는 코인이며, 한국인들이 상당히 사랑하는 코인인 거 같습니다.
요즘에는 상당히 이슈없이 조용한 거 같은데 차트로 같이 한번 보시겠습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s://ethereumclassic.org/
Ethereum Classic
A decentralized computing platform that runs smart contracts: applications that run exactly as programmed without downtime, censorship or third party interference
ethereumclassic.org
이더리움클래식 코인 가격 전망
이더리움클래식 코인 주봉입니다.
의미 있는 수평라인이 3개 정도 되는 거 같습니다. 중간 38$라인은 일부러 흐리게 그려봤습니다. 위아래 라인보다는 조금 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먼저 13$정도에 강력한 저항 및 지지선이 있으며, 이번장은 그 지지선에 지지를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45$근처의 라인이 저항선이 될 거 같아서 미리 그려놓았습니다.
이클의 경우는 한 번에 시원하게 가고 꽤 오랜 기간 횡보하는 게 특징인 거 같습니다.
이클 차트만 본다면 크게 뚜렷하게 상승추세로 전환된 시그널이나 차트모습은 확연하게 보이진 않습니다만, 비트의 추세에 따라 같이 움직일 거라 보고 있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 코인 주봉입니다.
저번 21년도 상승장전에 보시면 크게 박스권을 형성했던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박스권 돌파 3번째부터 진정한 시세분출이 일어났습니다.
현재부근 주봉차트입니다.
위에 차트랑 비교를 해본다면 바닥 지지는 확실히 받은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대상승장 전 찔러보는 타이밍이(21년 1월, 21년 2월 자리) 아직 오지 않은 거 같습니다.
저번 패턴과 비슷하게 간다는 전제하에 다음 저항선은 46$근처가 될 것이며, 그다음 저항선은 54$, 77$가 될 거 같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 일봉 차트입니다.
현재 조정 후 상승채널을 형성 중입니다.
차트 특성상 채널 상단 돌파매매가 좋아 보이며, 돌파시 목표가는 수평라인 보이는 바와 같습니다.
아마도 21년 상승장과 비슷한 패턴으로 한번 더 개미 털기를 하고 시세분출이 일어날 것으로 판단됩니다.
21년 시세분출기간은 단 2 달이었단 점 명심하시고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는 투자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시장에서 살아남는 투자자 살아남는 매매를 합시다.
다음시간에 더욱 좋은 분석으로 오겠습니다.
성공적인 투자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