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더리움코인 시세 및 전망 차트분석

카테고리 없음

by 차트보는남자 2024. 2. 4. 03:25

본문

안녕하세요 차트보는남자 입니다.

 
요즘 블로그 쓰는 거에 부쩍 재미를 느끼는 거 같아 연달아서 쓰게 됩니다.
 
계속해서 흐린 날씨가 이어지지만 좋은 하루들 되시고 코인시장 시총 2위의 알트코인
 
대장인 이더리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더리움코인 (ETH Coin)

심벌 : ETH

발행량 : 제한 없음

유통량 : 120,181,697 ETH('24. 2. 3. 기준)
 
시가총액 : 369.5조원('24. 2. 3. 기준)

최초발행 : 2015년 7월

상장거래소 : UPbit, Binance, Coinbase, Kraken 등 다수
 

출처 : CoinMarketCap

 
 

이더리움 코인 소개

이러리움코인 창시자 : 비탈린 부테린

 

1. 디지털자산소개

이더리움(Ethereum)은 2013년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에 의해 탄생하였습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분산 네트워크로 현재 많은 디앱(DApp)들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ERC-20이라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탄생한 토큰들의 표준을 제시하여 토큰 간 호환성도 증진시켰습니다. 현재 ERC-721 기반의 수많은 NFT 또한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탄생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ETH)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화폐처럼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2. 기술적 특징

1) 이더리움은 2022년 합의 알고리즘을 작업증명방식(Proof of Work)에서 지분증명방식(Proof of Stake, PoS)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지분증명방식을 기반으로한 여러 개발 활동을 통해 이더리움 내 블록 검증 및 생성에 필요한 자원과 시간을 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이더리움클래식과 같이 거래를 기록하기 위해 계정 기반 모델(Account-based model)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저장공간을 절약하고, 디앱(DApp) 개발 방식을 단순화하며, 계정간의 대체가능성(Fungibility)을 높여 중앙화 블랙리스트에 편입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현재와 미래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자산이며,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의 도입으로 블록체인 2세대의 시작을 열었습니다.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수많은 비즈니스 앱이 탄생하였으며, 이더리움은 이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NFT 시장의 확대로 이더리움의 가능성은 더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기능들이 이더리움에 추가될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 업비트]
 

이더리움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알트코인들의 어머니? 이더기반으로 엄청난 코인들을 배양한 코인으로 알고 계실 겁니다. 또한 저는 비탈릭의 위의 사진이 개인적으로 마음에 듭니다. 콘셉트인지 뭔지 모르겠지만, 참 독특한 캐릭터란 건 확실하게 느껴집니다.
정확하게 전문가적으로 어떤 코인인지 스마트컨트렉트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저는 모릅니다. 솔직히 알고 싶지도 않습니다. 제가 전문가나 코인창시자가 되고 싶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허나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알고 있습니다. 한때 시총 2위 자리를 리플에 넘겨줬던 적이 있지만 항상 코인시장에서 부동의 2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 그거 하나만으로도 이더리움의 미래는 비트코인이 탄탄하게 올라갈꺼기 때문에 밝다고 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s://ethereum.org/ 

 

홈 | ethereum.org

이더리움은 디지털 화폐와 새로운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글로벌 분산형 플랫폼입니다. 이더리움에서는 디지털 화폐를 제어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전 세계 어디서나 접속 가능한 애

ethereum.org

 

이더리움코인 가격 전망

 
이더리움은 발행일이 15년 7월입니다. 그때부터 존재한 차트를 찾아보니 비트스탬프 거래소의 달러차트가 있었습니다. 그쪽차트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출처 : 트레이딩뷰(이더리움 주봉)

 
이더리움 주봉차트이며, 전체적인 엘리엇 파동을 그려 넣어봤습니다. 18년도까지의 상승분이 커다란 1파로 상승 5파와 하락 ABC가 나온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18년 12월부터 코로나빔을 맞은 후 20년 3월까지가 다음 커다란 3파의 1파로 볼 수 있으며, 21년 11월 3파가 끝나고 하락 4파 후 5파 상승을 하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볼 수밖에 없는 이유는 저번 글에 설명을 드렸습니다. 엘리엇파동이론 법칙에 위배되기 때문이죠.
이전 글에서 비트코인 다음사이클의 꼭지가격과 프레임을 계산해 봤는데요 이더리움을 보면서 재밌는 게 또 보입니다.
비트코인이 전사이클과 똑같이 간다면 25년 11월쯤에 상승마무리를 할 거로 봤습니다. 그런데 이더리움을 파동을 쪼개서 이전파동의 하락 4파와 상승5파의 프레임 비율과 지금파동의 하락4파와 상승 5파의 프레임 비율이 대비했더니 25년 6월쯤이 나오는 것 비트코인과 어느 정도 차이는 있지만 비슷하다는 게 재미있었습니다.
 

출처 : 트레이딩뷰(이더리움 일봉)

 
차트를 보시면 3파에서 4파가는 봉캔들 개수가 35개(35일) 4파에서 5파가는 봉캔들 갯수가 182개(182일)입니다. 단순 계산하면 182 ÷ 35 = 5.2배의 프레임으로 숏보다 롱이 긴걸 알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의 차트에 한번 대입해 볼까요?
 

출처 : 트레이딩뷰(이더리움 일봉)

 
3파에서 4파가는 봉캔들 갯수가 220개(200일) 4파에서 5파가는 봉캔들 개수를 위에 차트와 배입해 본다면 예상캔들 수 1100개(1100일)가 됩니다. 똑같이 가지 않겠지만 어느 정도 비트코인과 프레임이 비슷한걸 보니 무시할 수만은 없을 거 같습니다. 가격은 떨어지는 것보다 올라가는 것이 훨씬 오래 걸리는 건 모두들 알고 계실 테니까요
 

출처 : 트레이딩뷰(이더리움 일봉)

 
이더리움 일봉차트를 가운데 한 줄 긋고 잘 보시면 저 자리가 지지와 저항이 가장 강한 자리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상승에 저항선을 깨고 올라온 걸 보실 수 있으며, 왼쪽의 박스 안의 자리와 매우 흡사하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이번에 추가 조정 없이 올라가게 된다면 왼쪽 그림과 매우 흡사한 상승을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비교한다면 상승 시 목표추정 가는 약 4,000$에서 신고가를 가게 될 경우는 5,900$쯤 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확신 드는 자리는 아니지만 하얀색 수평선을 기준으로 매매를 하시면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분석을 할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숫자와 참 많은 것이 연관되어 있는 거 같습니다.

시장에서 살아남는 투자자 살아남는 매매를 합시다.

다음시간에 더욱 좋은 분석으로 오겠습니다.

 

성공적인 투자 기원합니다.